빼미의 개발일기

[컴퓨터 구조] - 6강. 소스코드와 명령어 본문

프로그래밍/컴퓨터 구조

[컴퓨터 구조] - 6강. 소스코드와 명령어

빼미01 2023. 5. 12. 17:30
이 글은 한빛미디어 '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+ 운영체제'를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
 

● 소스코드는 컴퓨터가 바로 이해하지 못한다. 개발자가 작성하는 소스코드는 고급언어이며, 이를 컴퓨터가 이해 할 수 있는 저급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

 

  • 고급언어 : C/C++, 자바, 파이썬 등
  • 저급언어 : 기계어, 어셈블리어

고급언어가 저급언어로 변환되는 2가지 방식
  • 컴파일 언어 : 소스코드를 컴파일러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저급언어로 변환되는 과정. 소스코드 전체를 검사한 후 컴파일이 진행되며, 컴파일 결과로 저급언어인 목적코드가 생성 (C/C++)
  • 인터프리터 언어 : 소스코드가 한 줄씩 실행되는 언어. 한 줄씩 코드를 저급언어로 변환하기 때문에 소스코드 전체가 저급언어로 변환되는 시간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. (파이썬)

 

그럼 컴파일 언어와 인터프리터 언어로 양분 되는 것인가?

결론은 아니다. 현대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고 이 둘을 명확히 나누는게 모호한 경우가 많다.

가령 자바만 해도 컴파일과 인터프리트를 동시에 수행한다.

둘을 양분한다는건 오개념이고,

고급언어에서 저급언어로 변환되는 방식으로 컴파일과 인터프리트를 구분하는 정도로 이해하면 된다.

Comments